본문 바로가기
미국 증시

지난 한 주 미국 증시 동향 분석: 주요 주식 등락과 투자자 주목 포인트

by FireFire40 2025. 2. 23.
반응형

지난 한 주간 미국 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정책 변화에 따른 변동성을 보였습니다. 2월 10일부터 23일까지의 주요 지수 동향, 거래량 상위 종목, 그리고 시장을 움직인 핵심 이슈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.

1. 주요 지수 동향: 혼조세 속 하락세 우려

1.1 다우존스와 S&P 500의 급락

2월 21일(금)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748포인트(-1.7%) 급락하며 2025년 최대 폭 하락을 기록했습니다. 이는 전날(20일) 0.2% 소폭 하락에 이은 연장선으로, 주간 누적 하락폭은 2%에 달했습니다. S&P 500 역시 1.7% 하락하며 12월 이후 최대 일일跌幅을 보였고, 나스닥 종합지수는 테크주 약세로 2.2% 급락했습니다.

초반 주간에는 기술주 중심의 소폭 회복세가 있었습니다. 2월 10일 나스닥은 1% 상승하며 NVIDIA(2.3%), 마이크론 테크놀로지(3%) 등 반도체 종목이 강세를 이끌었습니다. 그러나 금요일 급락으로 주간 전체적으로는 부진한 마감을 기록했습니다.

1.2 인플레이션 데이터와 소비자 심리 악화

2월 14일 발표된 미시간 대학 소비자심리지수는 64.7로 전월 대비 10% 하락했으며, 5년 인플레이션 기대치도 1995년 이후 최고치(3.5%)를 기록했습니다. 이는 트럼프 정부의 철강 관세 인상(25%) 및 알루미늄 관세(10%→25%) 발표가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.

2. 거래량 상위 종목 분석: 방어주 vs 테크주

2.1 최다 거래 종목 현황

인터랙티브 인베스터(II) 플랫폼 기준 2월 18일 영국 증시에서 세리카 에너지(SQZ, +12.6%), BAE 시스템(BA, +78% 매수비중) 등 방산/에너지주가 활발히 거래되었습니다. 미국 시장에서는 NVIDIA(나스닥:NVDA), 애플(AAPL), 마이크로소프트(MSFT) 등 빅테크가 여전히 매수 중심의 거래를 보였습니다.

2.2 주목받은 소형주 및 페니주

나비타스 반도체(NVTS), 아브셀레라 바이오로직스(ABCL) 등 반도체·바이오 페니주가 주목받았습니다. 이들 종목은 시가총액 1억5천만 달러 미만이지만 재무건전성 평가에서 ★★★★★☆ 이상을 받으며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습니다.

3. 급등·급락 종목 심층 분석

3.1 상승세 종목

  • 라티스 세미컨덕터(LSCC): 4분기 매출 1억1,740만 달러(예상 1억1,710만 달러 초과)로 12% 급등
  • 아스테라 랩스(ALAB): 4분기 EPS 0.37달러(예상 0.26달러), 매출 1억4,100만 달러(예상 1억2,800만 달러)로 실적 돌파
  • 프록터 앤 갬블(PG): 방어주 수요 증가로 1% 상승

3.2 하락세 종목

  • 월마트(WMT): 소비 위축 예상으로 연속 2일 하락
  • 팔란티르(PLTR): 테크주 전반 약세로 2.5% 하락
  • 버텍스 파마슈티컬스(VRTX): 4분기 EPS 3.98달러(예상 4.03달러 미달)로 1% 하락

4. 시장을 움직인 핵심 이슈

4.1 트럼프 관세 정책의 파장

2월 10일 발표된 철강 관세 인상(25%)은 즉각적인 효과를 보였습니다. 클리프스 네츄럴 리소스스(CLF)가 18% 급등했고 누코르(NUE)도 5% 상승했습니다. 그러나 장기적으로는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로 시장 불확실성을 증대시켰습니다.

4.2 연준의 금리 정책 기대 변화

2월 20일 기준 30일 금리선물은 연내 2~3차례 금리 인하(0.5~0.75%p) 가능성을 55%로 가정했으며, 이는 전일 대비 10%p 상승한 수치입니다. 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2월 20일 의회 증언에서도 "데이터 의존적 접근"을 재차 강조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습니다.

5. 투자자 모니터링 포인트

5.1 주요 경제 지표

  • 2월 22일 CPI: 전년대비 상승률 전망치 3.1%(전월 3.4%)
  • 2월 23일 PPI: 생산자물가 상승폭 감소 전망
  • ISM 서비스 PMI(2월 28일): 49.5(계약 영역) 예상

5.2 섹터별 주목 포인트

  1. 방산·원자재: BAE 시스템(BA), 락히드 마틴(LMT) 등 지속적 수요 증가
  2. 소비재: 프로cter & 갬블(PG), 제너럴 밀스(GIS) 등 방어주 수혜
  3. 반도체: NVIDIA 내구주 지위 유지 전망, but 과매수 구간 진입 가능성

5.3 정책 리스크 관리

  • 관세 확대 여부: 유럽·중국 추가 대상국 포함시 공급망 충격
  • 재정 건전성: 정부 지출 축소 계획이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

6. 결론: 신중한 포트폴리오 재편 필요

이번 주 시장 동향은 단기적 이벤트(관세 발표)와 구조적 문제(인플레이션-성장 딜레마)가 중첩된 결과입니다. 헤지펀드 거물 스티브 코언이 언급한 "상당한 조정 가능성"을 염두에 두며, 투자자들은 다음을 고려해야 합니다:

  • 방어적 자산 배분: 소비재·헬스케어 섹터 비중 확대
  • 수익성 재평가: 실적 발표기 대비 EPS 성장률 대비 PER 적정성 검토
  • 환율 헤지: 달러 강세 지속 시 해외 수익 비중 높은 기업 주의

향후 2주간은 CPI·PPI 데이터와 연준 의장 발언이 시장 변동성을 주도할 전망입니다. 단기 매매보다는 장기 투자 테마(AI, 재생에너지, 방산) 중심의 종목 선별이 필요해 보입니다.

반응형